갤럭시노트3




단통법 시행 이후 국내 휴대폰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 시행 초기에는 보조금을 적게 주며 눈치만 보던 이통사들은  아이폰6 출시를 계기로 단말기 출고가를 낮추고 보조금을 상향조정하고 있다. 약정이 끝난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알뜰폰 등으로 저렴한 요금제를 택하기도 한다.


단통법에 의하면 약정이 끝난 사용자를 신형  스마트폰과 요금 할인 혜택을 앞세워 끌어들이는 기존 방식이 제한받게 된다. 신형 스마트폰에 지급할 수 있는 보조금 상한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동통신사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우선 연말연시를 맞아 재고 소진을 위해 단말기 지원금을 계속 올리고 있는데 주말에도 지원금 상향을 발표하곤 한다. 여기서 가장 핵심이 되는 제품은 출시된 지 15개월이 지난 단말기로서 보조금 제한에서 자유롭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은 12월 25일에는 갤럭시 윈, 갤럭시노트3 네오의 최대 지원금을 27만 9,000원, 26만 9,000원으로 올렸다. 또한 12월 27일부터 G2, 갤럭시S4  LTE-A, 갤럭시노트2의 최대 지원금을 출고가와 동일하게 올렸다. 따라서 요금제로 전국민무한 100을 사용하면 무료로 살 수 있다. 2015년 1월 1일부터 갤럭시노트3의 지원금을 최대 72만 5,000원으로 늘렸기에 15만 5,000원에 구입 가능하다.


KT는 갤럭시S5, 갤럭시 S5 광대역 LTE-A, 갤럭시노트3 네오, G3, G3 cat6, 갤럭시노트 엣지의 기본 지원금을 25만원 이상으로 올렸다. 갤럭시노트 엣지의 출고가 106만7000원이다 따라서 최대 지원금 27만원을 받으면 79만 7,000원에 구입 가능하다. 특히 갤럭시 노트2, 갤럭시메가, 갤럭시S4 LTE-A, Vu3, G2, 베가아이언 등 6개  모델에 대해서는 출고가만큼 최대 지원금을 준다. 따라서 순완전무한 77요금제를 사용하면 6개 모델 모두 공짜로 구입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도 12월 24일부터 갤럭시노트3, 갤럭시노트3 네오, G3 비트, 베가 넘버6 등 4종의 스마트폰에 대한 지원금을 올렸다. 갤럭시노트3의 최대 지원금 30만원에서 65만원으로 대폭 올렸다. G3 비트는 25만원에서 27만원으로, 갤럭시노트3 네오는 24만원에서 27만원으로 베가 넘버6는 25만원에서 30만원으로 각각 보조금이 올랐다.


언뜻 보기에는 사용자에게 돌아가는 보조금이 늘어난 만큼 좋은 일로 보인다. 특히 갤럭시노트3는 15개월이 지난 단말기임에도 성능이 좋아서 상당히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단말기를 공짜로 구입하려면 조건이 붙는다. 바로 고가요금제다. SK텔레콤의 경우 72만 5,000원의 보조금을 받으려면 '전국민무한 100 요금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럴 경우 판매점 추가 지원금 15퍼센트인 10만 8,750원을 더하면 약 5만원에 갤럭시노트3를 구매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요금제는 부가세를 포함해 월 11만원을 내야 한다. 기본 24개월 약정을 생각하면 사용자는 총 264만원을 내야하는 계약을 하게 되는 셈이다. 이런 고가 요금제는 사실상 일반 사용자가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은 과소비에 가깝다.


같은 이통사의 LTE62 요금제 정도만 해도 2.6기가바이트를 제공하는 데 이정도 데이터 용량이면 일상적인 용도로는 충분할 정도이다. 결국 필요하지 않는 과도한 고가 요금제를 쓰는 사용자는 그만큼의 돈을 월별로 분납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예로서 SK텔레콤을 들었지만 이 부분에서는 KT, LGU+ 역시 마찬가지 정책을 운영하고 있다.


더구나 이런 경우에는 지원금이 늘어난 만큼 위약금도 늘어난다. 갤럭시노트3의 경우 단말을 구매한 뒤 분실하거나 해지하면 바로 지원금 만큼인 83만 3,750원의 위약금이 부과된다. 살 때는 5만원에 사지만 16배가 넘는 위약금을 낼 수 있는 위험도 있다. 갤럭시노트2도 마찬가지다. 출시한 지 27개월이 지난 모델이지만 지원금이 출고가와 같은 84만 7,000원(SK텔레콤 전국민무한 100 요금제 기준)이다. 따라서 분실이나 해지시에 갤럭시노트3보다 위약금이 더 크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단말기 출고가가 낮아지는 것이다. 보조금이 투명해진 만큼 유통과정에서 낀 거품을 걷어내야 그만큼 사용자가 혜택을 볼 수 있다. 단말기 제조사의 단말기 보조금이나 이통사의 보조금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상관없는 곳에서 생긴 거품이다. 출고가를 기준으로 위약금이나 각종 요금제가 정해지는 상황에서 출고가를 낮추면 그만큼 필요없는 고가 요금제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출고가 인하는 단말기 제조사와 이동통신사에서 가장 뒤로 미루는 방안이다. 공짜단말기를 앞세워 고가요금제를 쓰게 해서 거두는 수입이 매우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에게 지나친 고가요금제는 필요가 없다. 그저 단말기를 공짜로 샀다고 착각하게 되고는 실제로는 요금 안에서 할부금을 따로 내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이동통신사가 권하는 공짜단말기를 사려고 할 때 그 안에 숨어있는 고가요금제를 주의깊게 보고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인지 생각해보는 지혜가 필요한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