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다한 통신사 보조금으로 벌어진 휴대폰 시장 교란에 대한 이통사 간 책임공방이 가열되고 있다.

 

2014년 2월 10일 저녁부터 11일까지 SKT는 600억~800억의 보조금을 투입했다. 스마트폰 정보 공유사이트에 엄청나게 매력적인 조건의 구매자 모집 글이 올라왔고 하루 동안에 SKT는 6,000여명의 가입자를 얻었다. 이때 새벽시간 동대문역 근처 대리점에 늘어선 구입자 행렬은 큰 화제가 되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매출기준 점유율 50퍼센트를 지키려는 SKT가 이런 ‘대란’을 주도했다는 관측이 나왔다. 박인식 SK텔레콤 사업총괄 사장이 지난달 23일 점유율 50%를 사수하겠다는 발언을 공개적으로 한 것이 원인이라는 관측이다. 박 사장의 의지가 원인이 되어 마케팅 조직에서 한꺼번에 보조금을 투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은 점유율 50퍼센트 사수발언과 보조금 투입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결코 자사가 이번 대란을 주도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언론을 상대로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SKT는 “LGU+가 지난 2월 8일에서 2월 10일까지 3일 동안 총 400억원의 보조금을 퍼부어가며 1만 2691건이라는 단일회사 사상 최대 규모인 싹쓸이 순증 사태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비록 SKT가 211대란에서 가입자증가를 얻었지만 그 이전에 LGU+에서 먼저 보조금을 풀어 가입자를 빼앗아갔다는 논리다. 그리고는 그 이유에 대해 “통화품질 꼴찌와 지난해 말 대규모 장애 등 LTE 상품서비스 열위로 인해 추락 중인 실적을 보조금으로 만회하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LGU+의 보조금 투입 사례를 첨부했다.

 

논란은 다시 ‘판매수수료’ 문제로 이동했다. SKT는 “LGU+는 지난해 4조 7680억 원을 무선사업에서 벌어들이면서 2조 3380억 원의 판매수수료를 지출해 판매수수료 비중이 49%를 기록했다” 라면서 “KT보다 무선수익이 2조 이상 적었음에도 판매수수료는 오히려 더 많이 지출하며 공격적인 보조금 정책을 펼쳤다”고 지적했다. 가입자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은 판매수수료비중이 24.8% 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고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LGU+는 사실무근 비방이라고 맞섰다. 보도자료를 통해 LGU+는 “SKT는 유선사업을 SK브로드밴드가 맡고 있어 판매수수료 항목에 유선비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LG유플러스의 마케팅비용에는 유선비용도 포함되어 있다”고 전제하고는 “무선수익 기준이 아닌 영업수익 대비 마케팅비 비중을 비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LGU+ 관계자는 “이미 여러 언론에 보도된 바와 같이 새벽에 스마트폰 구입 행렬은 동대문 SKT 매장 앞에서 줄을 섰다. 211대란을 SKT가 주도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면서 “SKT는 50퍼센트 점유율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점유율 때문에 과다한 마케팅 비용을 쓰는 무리함이 진정한 서비스 경쟁을 못하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이 사태를 관측한 업계 관계자는 “이 상황이 정상적 상황은 아니다. 방통위를 포함한 규제기관이 이런 일이 없도록 강력하게 제재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한편 방통위는 2014년 2월 14일 열리는 전체회의에서 '이통사 시정명령 불이행에 대한 조치'를 논의해서 미래창조과학부에 제재를 요청할 계획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시정명령 위반에 따른 조치로 영업정지 3개월, 보조금 실태조사에 대한 결과로 영업정지 3개월로 총 최대 6개월의 영업정지를 부과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