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국 사회에서는 혁신이란 말이 유행이다. 남들이 다 하는 것이나 누구나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닌 발전을 이룩하면 흔히 혁신이라는 말을 한다. 그렇지만 그 가운데 정말로 혁신이라는 말에 어울리는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한국드라마에서 인기있는 장르 가운데 하나는 의학드라마이다. 하얀 가운을 입은 의사는 사회의 엘리트 계층이다. 그리고 사회적 강자의 위치에 가깝다. 반대로 그 의사에게 찾아오는 환자는 약자에 가깝다. 사회적 지위야 어떻게 되었든 당장 생명이 위독한 사람이 응급실을 거쳐 수술실로 오면 그때부터는 의사에게 모든 것을 맡길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의사는 기계가 아니다. 각각 야망과 감정을 가진 사람이다. 이런 의사가 사연을 가진 환자와 부딪치면서 많은 만들어내는 이야기는 당연히 긴박감이 넘치고 재미있을 수 밖에 없다. 여기에 연기력이 뛰어난 배우까지 가담하면 많은 화제까지 만들어낸다.


의학드라마로서 제 3 병원이란 제목을 들었을 때 떠오르는 게 무엇일까. 내가 직관적으로 떠올린 것은 어떤 건물이다. 아파트 제 2 동 이런 것 말이다. 직접 방송을 보기 전에는 무엇인가 차갑고 어두운 그런 분위기의 병동을 다루는 드라마가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 하지만 이건 내 상상일 뿐 실제 드라마는 그런 상투적인 내용이 아니었다.


의사는 정확히 말하면 서양의술을 익힌 양의와 한방의술을 익힌 한의로 구분된다. 이 두 의사는 사이가 그리 좋지 않다. 의술을 보는 기초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루는 약의 종류와 치료방법을 둘러싼 갈등과 분쟁은 가끔 텔레비젼 뉴스에도 나올 정도로 이슈가 된다. 그런데 이런 양의와 한의가 한 병원에서 진료를 하게 된다면? 제 3 병원은 바로 이런 상황을 맞은 '협진병원'을 무대로 한다.


인물은? 김승우가 맡은 신경외과 의사 김두현의 역할은 차갑고 까칠하며 원리원칙에 충실한 의사이다. 놀라운 집중력과 수술실력으로 과다출혈에 이른 환자를 한번에 살리는 것으로 1화부터 그 실력을 보여준다.

여기까지 보았을 때는 얼핏 드라마 '하얀 거탑'의 김명민을 떠올렸다. 카리스마가 있고 야심만만한 의사가 주인공이 되어 야심에 찬 인간관계를 형성해가는 그런 내용이 펼쳐지는 건 아닐까 하고 말이다. 그러나 제 3 병원은 그 컨셉부터 달랐다. 


오지호가 맡은 한의 김승현의 역할은 명랑하고 때로는 망가지기도 하면서 환자를 따스하게 보살피는 그런 인물이다. 병원의 룰이나 원칙도 때로는 무시하면서 오로지 환자를 돌보고 살리는 그런 역할이다. 이런 두사람이 한 병원에 있다는 건 무엇인가 많은 것을 기대하게 만든다. 


자칫 이런 내용은 폼만 잔뜩 잡은 가벼운 시트콤으로 끝나기 쉽다. 그렇지만 제 3 병원은 다르다. 당장 병을 낫기 위해서 어떤 것에든 매달리려는 환자들은 양방과 한방을 가리지 않고 요청한다. 환자에게는 효율성이 먼저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양의와 한의의 감정적 갈등 때문에 효율적인 협력이 이뤄지지 않는다. 더구나 둘 사이에는 의학적 견해를 둘러싼 심각한 불신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아무리 유능한 양쪽 의사라도 불협화음과 실수가 나오기 쉽다.


이런 갈등속에서 두 인물은 자기 방식대로 눈앞의 상황을 해결해나간다. 김승우는 차가운 원칙주의자다. 룰과 현실이 우선이다. 어떤 상황에서도 그는 원칙대로 처신한다. 그리고 그런 원칙이 그의 놀라운 수술실력의 원동력이기도 하다. 오지호는 따스한 휴머니스트다. 그에게는 환자의 완치와 정신적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 어떤 상황에서도 그는 사람이 우선이다. 따라서 원칙은 때로는 어길 수도 있는 것이다. 


제 3 병원은 실제 의술 고증에도 제법 신경을 썼다. 병과 증상을 잘 설명하면서도 그것을 한방과 양방에 같이 적용시켜서 일관성을 더했다. 인간에만 집중해서 의술을 무시하기 쉬운 단점까지도 잘 극복한 편성이 돋보인다.


마침내 한방과 양방, 두 의술이 부딪치면서 마침내 심각한 갈등을 낫게 된다. 그리고 병원측은 자칫하면 협진병원이란 간판을 내려야 할 상황에서 결단을 내린다. 부분적인 협력진료가 아니라, 전면적인 협력진료팀을 만들자는 것이다.


사실 두 주인공은 사연이 많은 형제 사이다. 의학적 갈등과 인간적 갈등이 한데 묶여서 폭발하게 된다. 본의에 어긋나게 한 팀이 된 두 사람은 당연히도 물과 기름처럼 분리되며 충돌한다. 무조건 자기 방식에 따르라는 김두현과 그럴 수 없다는 김승현의 대립은 그래서 손에 땀을 쥐는 긴장감을 준다.


과연 한의와 양의의 협진이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까? 나도 솔직히 의문이었다. 비록 양의가 수술과 응급치료에 강한 건 사실이다. 그렇지만 부분적인 증상에만 집착해서 몸 전체를 보지 못하는 것도 사실이다. 한의는 사람을 전체로 보고 생명력을 북돋는데 주력한다. 두 의술이 하나가 될 수 있는 병이나 환자가 있을까?


제 5화까지 방영된 제 3 병원은 바로 이 부분을 통해 마치 결말을 모르는 레이스 같은 질주감을 준다. 두 향제의 사연과 갈등이란 개인적 사연이 한방과 양방이라는 의술을 통해 커다랗게 증폭된다. 거기에 냉정한 원칙주의자와 따스한 휴머니스트란 성격의 차이까지 도달하면 시청자들은 김승현과 김두현이란 두 인물이 그려내는 일거수일투족에 주목하게 된다. 





나도 보고 있는 사이에 이 드라마의 매력에 빠졌버렸다. 이 드라마는 의학드라마로서 하나의 혁신을 이룩했다. 누구도 시도하지 않던 이런 구성에서 세심한 스토리를 겯들인 제 3 병원은 이제 5화가 방영되었다. 앞으로 어떤 전개를 보여줄 지 다음 방영날을 손꼽아보며 지켜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