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야심차게 내놓은 갤럭시S6가 국내 시장에 출시된 지 1주일이 지났다. 전작에 비해 여러가지 면에서 매력적이고 잘 만든 제품으로 알려졌기에 초기 판매량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렇지만 단말기 판매 실적은 기대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급 단말기에 대한 수요가 높고 삼성전자의 안방과도 같은 국내에서 어째서 이렇듯 갤럭시S6에 대해 반응이 높지 않은 것인까? 그 이유를 살펴보자.





보조금 대폭 인상 - 이통사마다 다른 전략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자료에 따르면 4월 18일(토요일) 이동통신 3사의 번호이동 건수는 12,804건이다. 또한 4월 19일 번호이동 건수는 7,789건이다. 일요일인 점을 감안해도 많지 않은 숫자이다. 출시후 첫 주말인 4월 11과 12일에 하루 평균 13,372건을 기록한 것에 비하면 상당량 줄어든 결과이다. 보통은 새 단말기 출시 후 일정기간까지는 꾸준히 번호이동 건수가 증가하기 마련이다. 


이 기간 동안 KT, LGU+는 갤럭시S6, S6 엣지의 보조금을 인상했다. KT의 경우 10만원대 요금제 기준으로 갤럭시S6 보조금을 32만 7,000원으로 공시했다. 3만원에서 6만원대 요금제에는 6만 8,000원~17만원 정도의 보조금을 공시했다.


LG유플러스는 10만원대 요금제 기준으로 기존 12만~14만원이었던 보조금을 6만~8만원 더 올렸다. 6만원대 요금제와 3만원대 요금제에는 각각 14만~17만원, 6만9000원~8만4000원의 보조금을 공시했다. 


두 이통사는 각기 다른 전략을 쓰고 있는데 KT는 고가 요금제를 쓰는 고객에게 더욱 많은 보조금을 주고 있다. 이것은 고객 한 명당 수익률을 중시하는 전략이다. 반대로 LGU+는 중저가 요금제 고객에게 많은 보조금을 준다. 전체적인 사용자 점유율을 더 많이 가져가겠다는 의도로보이는데 LGU+가 꾸준히 점유율 경쟁을 벌이며 2위업체가 될 기회를 노린다는 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10만원대 요금제 기준으로 갤럭시S6의 보조금을 13만원에서 24만 8,000원으로 11만 8,000원 올렸다. 3만원~6만원대 요금제에는 8만7000원~17만1000원으로 올렸다. 공격적으로 경쟁사 가입자를 빼앗아오기 보다는 기존 가입자를 지키겠다는 소극적 전략이다. 얼마전 방통위에게 불법 보조금 지급으로 단독 징계를 받은 면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구입을 미루는 사용자 - 보조금 추가 인상 기대


단말기 유통법 시행 이후로 새로운 단말기에 맞춰서 대량의 보조금을 풀어 '공짜폰'을 만드는 방법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규제당국인 방통위와 미래부가 강력한 제재의지를 보이고 있는 데다가 자칫하면 거액의 과징금을 징수당할 수 있다. 아이폰6 출시 초기에 벌어졌던 '아이폰6 대란'에서도 방통위는 초기에 위법행위를 발견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했다. 이번에도 갤럭시S6를 대상으로 파격적인 보조금 지급이 이뤄지면 즉각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현행 단통법을 지켜야하는데 여기에서 구매자의 부담이 예년에 비해 높다. 보통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6만 원대 요금제는 17만 원 정도 보조금이 지원된다. 따라서 갤럭시S6 32GB를 구입한다면 60만 원 정도의 단말기값을 내게된다. 10만원대 정도 고가요금제가 아니라면 제대로 된 보조금을 받을 수 없는 셈이다. 


따라서 기다리면 보조금이 언제 더 오를지 모른다는 생각에 단말기 구매를 보류하는 사용자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갤럭시S6의 보조금은 출시 며칠 만에 계속 오르고 있다. 판매가 예상보다 부진하게 되면 초기 붐업을 일으키기 위해 단통법에서 허용되는 한도 내에서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보조금 상한액은 33만원이다. 


결국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6만원대 요금제에서 보조금이 더욱 많이 인상되어야 갤럭시S6의 판매가 순조롭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통사는 먼저 구입한 사용자의 반발을 무릅쓰고 서서히 시장 판매상황을 보며 보조금을 올려나가고 있다. 단통법이 허용하는 한도에 도달할 만큼 많은 보조금이 지급될 시점이 언제가 될 지 지켜보자.